서방의 제재로 파탄 나고 있는 러시아경제에 대해 알아보자.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제재를 받고 있는 러시아경제가 흔들리고 있다.
흔들리지 않을것 같던 러시아경제가 왜 휘청거리는지 이유를 함께 알아보자.
우크라이나 전쟁 중 서방의 제재가 먹히지 않았던 이유
전쟁을 일으킨 러시아를 상대로 서방은 책임을 묻기 위해 미국과 서방세계는 동시다발적인 금융제재 및 경제제재를 가했다.
이는 러시아의 전쟁의지를 꺾기 위해서 제재를 가했으나, 역설적이게도 이러한 제재는 서방과 러시아 간 신경전이 계속되면서 에너지 수급 불안정을 증폭시켰고 결과 에너지가격이 급등했다.
이러한 급등은 러시아 경제를 더욱 탄탄하게 해 주었고, 러시아는 사상최대 흑자를 맞이하게 됐었다.
그랬던 러시아경제가 갑자기 흔들린 이유
원자재 가격이 급등하기 시작하면서, 전 세계 인플레이션이 닥쳤다. 우리나라도 예외는 아니었으며 이러한 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해 미국 연준은 금리를 빠른 속도로 올리기 시작했으며, 고물가 및 경기침체에 접어들기 시작했고, 원자재 가격의 하락이 시작된 것이다.
이러한 천연자원 가격의 급감은 러시아 경제에 직격탄이 되었고, 동원령으로 인한 노동력 부족 신규투자 감소에 전쟁으로 인한 정부 지출은 과다해지며 붕괴 위험경보 까지 하는 전문가도 있다.
첫째. 러시아 천연자원들의 가격급락이 심각하다.
현재 러시아는 이러한 자원들의 수출길이 막히고 가격이 안정화되자 우방국인 중국과 인도 등에 정상가 보다 훨씬 낮은 가격으로 에너지를 팔고 있다. 러시아가 지난달 중국과 인도에 판매한 원유 가격은 배럴당 49.59$로 국제 기준물인 브렌트유 배럴달 80달러의 약 60%에 불과한 것이다.
특히 천연가스의 가격하락이 심각하다.
전쟁 전에도 3~4달러 하던 천연가스가 10달러 까지 폭등하다가 현재는 2달러 초반에 거래가 되고 있는 등 고점대비 -80%인 상황이다.
이처럼 서방의 제재로 최고 수혜국은 지금 중국과 인도, 이들은 지금 표정관리에 들어가고 있다.
둘째. 노동력 부족문제까지 겹쳤다.
러시아는 최근 30만 명 규모의 징집령과 이것을 피하기 위해 청년들이 러시아를 떠나감에 따라 러시아 기업의 50% 정도가 노동력 부족에 시달리고 있는 것으로 추산된다. 이러한 노동력 부족은 국가경제 GDP에 큰 영향을 미쳐 이러한 청년들이 노동력뿐만 아니라 소비의 주체가 되는데 지난해 러시아 소매판매는 전년 동기 보다 6.7% 감소했다.
또한 지난달 신차 판매는 전년 동월 대비 62% 급감하는 등 소비위축이 생각보다 심각하다.
셋째. 20% 하락한 루블화
서방의 제재로 수입루트가 막힌 상황에서 20% 하락한 러시아 루블화의 가치는 러시아 경제의 발목을 더욱 붙잡고 있다. 이러한 화폐가치 하락은 수입물가를 더욱 부추겨 현재 러시아의 2월 소비자물가상승률은 11% 폭등해 버렸다.
벼랑 끝에 선 러시아 경제의 미래는?
러시아는 전쟁 전에도 3분의 2가 저축이 전혀 없다고 답했으며, 전체인구의 약 15%인 2,000만 명 이상이 러시아의 공식 빈곤선인 월소득 12,916 루블(한화 21만 원) 미만으로 근근이 살아가고 있습니다.
이러한 러시아 상황에 미국과 서방의 경제제재가 효과가 없어 보였으나 조금씩 그 위력을 들어내고 있다.
만약 전쟁이 끝나더라도 다시 유럽이 러시아산 원유와 천연가스를 더 이상 대량구매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최근 EU는 러시아 에너지자원으로 부터 완전한 독립을 하겠다고 선언했기 때문이다.
이는 러시아 경제에 치명타가 될 것이 자명하다. 또한 청년들이 떠나간 나라에 경제성장이 있을 리 만무하며, 여초국가인 러시아가 더욱더 여자들 밖에 없는 나라가 될 확률이 높아 결혼을 위해 러시아를 떠날 것이다.
한 러시아 부호는
전쟁으로 인해 공급망이 붕괴되고, 수십만 명의 노동자가 경제에서 이탈했으며, 러시아 기업들이 서구 기술을 박탈당했다.
라고 말했습니다.
재정적자를 메우기 위해 해외투자가 필요한데 경제제재로 인해 불가능하다는 점에서 러시아의 미래는 암담하며, 만약 러시아의 재정이 무너지기 시작한다면 더 이상의 전쟁을 불가능해, 국가체제 붕괴까지 올 수 있다는 것을 우리는 대비하고 있어야 하겠다.
'투자에 대한 생각' 카테고리의 다른 글
틱톡 사상최대실적 달성에서 보는 투자의 혜안 (0) | 2023.04.11 |
---|---|
기술특례상장제도 (0) | 2023.04.04 |
퇴직연금 제도 DC DB IRP 용어설명과 총정리 한방에 끝내자 (2) | 2023.03.27 |
금리의역습, 금리를 바로 알아야 가계가 바로선다. (0) | 2023.03.27 |
미국금리인상, 기준금리5% 부동산시장 연말에 큰 기회 온다. (2) | 2023.03.23 |